본문 바로가기

Language

(22)
RePythonOOP 3일차 객체의 메서드들 ( 클래스 메서드, 인스턴스 메서드, 스테틱 메서드) insight 이러한 3가지 메서드를 잘 분류하는 것을 모듈화 모듈화가 모이면 패키지다 인스턴스 생성후 사용하는 메서드, self가 있으면 인스턴스 메서드이다. 클래스 메서드는 첫번째 인자로 클래스를 받고 두번째 인자로 원하는 값을 받는다 클래스 메서드로 객체를 인스턴스화 시킬수도 있다. 스테틱 메서드는 인자가 인스턴스 밖에 필요 없고 어떠한 인스턴스도 사용할 수 있다 All Code Info : https://github.com/DevRyu/DaliyCode/blob/master/OOPpython/Day03.py 일단 클래스와 익숙한 인스턴스 메서드를 선언 하겠습니다. class Student(object): ''' author : Ryu Date : 2019-11-28 ''' tuition = 1.0..
RePythonOOP 2일차 클래스 상세( 인스턴스, 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 클래스 설계 ) insight 클래스 변수와 인스턴스 변수의 차이 및 활용 방법 인스턴스 네임스페이스(__dict__)에 클래스 변수가 없어도 부모 클래스로 찾아 간다 (상속) self의 참의미와 활용법 All Code Info : https://github.com/DevRyu/DaliyCode/blob/master/OOPpython/Day02.py 프랜시스 베이컨식으로 클래스를 해체해보자! 클래스 상세( 인스턴스, 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 클래스 설계 ) 일단 학생클래스를 생성하고 메서드를 미리 생성하겠습니다. class Student(): """ author : ryu date : 2019-11-27 """ # 클래스 변수(공용 scope) student_count = 0 # 인스턴스의 변수(인스턴스 선언시의 ..
RePythonOOP 1일차 절차지향 VS 객체 지향 그리고 클래스 Insight 1. str, repr의 차이와 쓰임새 2. 절차 지향, 객체 지향의 차이와 쓰임새 All Code Info : https://github.com/DevRyu/DaliyCode/blob/master/OOPpython/Day01.py 1. 절차지향 VS 객체지향 절차 지향 => 함수적 프로그래밍 절차 지향적인 코딩 스타일 위에서 아래로 읽는다 student_1 = "kim" student_11 = 1 student_111 = [ {'hi':'how' }] student_2 = "kim" student_22 = 1 student_222 = [ {'hi':'how' }] student_3 = "kim" student_33 = 1 student_333 = [ {'hi':'how' }] 리스트 구조..
Django 키 컨셉 이해하기 요청과 응답 모델 관리자 뷰,폼 템플릿 테스틱 정적파일 뷰 템플릿 모델 보안
sys.modules과 built-in modules, sys.path의 구분 파이썬은 모듈/package를 1. sys.modules 2. built-in modules 3. sys.path 순서 대로 찾음 1. sys.modules 와 sys.path의 차이점 sys.modules - 파이썬이 제일먼저 모듈이나 패키지를 찾는곳 - 딕셔너리구조 - import 되있는 모듈과 패키지 저장 (다시 찾지 않아도 됨) sys.path - 모듈과 패키지를 1,2를 찾고 마지막으로 sys.path를 찾음 - 리스트구조(string 요소) - 처음의 리스트 요소부터 마지막까지 찾음 - 파이썬에 포함되어있는 built-in modules - sys.path에서도 모듈을 발견하지 못하면 ModuleNotFoundError 에러를 리턴 2. 파이썬은 sys 모듈의 위치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파이썬의 인자와 파라미터 그리고 다양한 종류 파라미터parameter : 함수 선언시 값을 받는 공간 예) def hi(a,b): return a+b 인자argument : 실제 함수 호출시 값을 입력하는 공간 # (positional arguments)라고도 한다. 예) hi(1,2) # 출력시 3나옴 키워드 인자 (keyword arguments) 실제 함수 호출시 파라미터에게 변수처럼 인자를 할당해서 사용하는법 인자 내의 파라미터명은 함수 선언시의 파라미터명과 같아야함 예) hi(a=1,b=2) 인자(positional arguments) & 키워드 인자 혼용 둘다 같이 사용이 가능하나 조건은 함수 정의시의 파라미터 위치와 인자의 순서가 일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 hi(a=1,2) GOOD hi(b=1,1) SyntaxError: posi..